'프로세스 트리'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1.03.08 특정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찾기
- 2010.06.04 윈도우 프로세스 - 동일한 실행 파일을 사용한 서비스
- 특정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찾기
- 日常茶飯事
- 2011. 3. 8. 17:56
팀원이 Tomcat 이 죽은거 같다고 한다.
웹페이지 접속이 안된다고 하는데.
- netstat 로 확인해 보니 정상적이다.
혹시 이 프로세스가 80 포트를 점유하고 있을수도 있으므로 PrcView 로 확인해본다.
역시 Tomcat 이다.
이 Tomcat 이 어떻게 실행되었는지 확인해 본다.
Original Filename 이 prunsrv.exe 다.
Process Tree 로 보니 services.exe 아래에 있다.
웹페이지 접속이 안된다고 하는데.
- netstat 로 확인해 보니 정상적이다.
혹시 이 프로세스가 80 포트를 점유하고 있을수도 있으므로 PrcView 로 확인해본다.
역시 Tomcat 이다.
이 Tomcat 이 어떻게 실행되었는지 확인해 본다.
Original Filename 이 prunsrv.exe 다.
Process Tree 로 보니 services.exe 아래에 있다.
- 윈도우 프로세스 - 동일한 실행 파일을 사용한 서비스
- 日常茶飯事
- 2010. 6. 4. 12:30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올리고 콘솔에서 WAS를 다시 시작시킴.
WAS가 내려가 있는 줄 알고 다시 시작했고(WAS를 내리지 않고 작업을 했음) 사이트가 제대로 돌아가는지 확인은 하지 않음.
사이트가 돌아가지 않아 서버관리자가 재부팅을 시킴.
서비스에 등록된 WAS가 동작해서 서비스함.
테스트용으로 등록해뒀는 서비스가 8080포트로 동작하고 있었음.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는 사용않함으로 둘 것.
PrcView에서 1708 httpd.exe의 커맨드라인 확인
서비스에 등록된 실행경로
1708은 80포트를 사용하는 서비스임.
테스트 WAS의 실행경로
PrcView에서 1920 java.exe의 커맨드라인
- PrcView로 프로세스 트리를 확인해 봄.
- 서비스가 아닌 구동 스크립트로 시작한 경우의 프로세스
서비스로 구동시켰을때는 SYSTEM이고 세션 이름이 Services이다.
- ptree, tlist 등의 도구를 활용하면 비슷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WAS가 내려가 있는 줄 알고 다시 시작했고(WAS를 내리지 않고 작업을 했음) 사이트가 제대로 돌아가는지 확인은 하지 않음.
사이트가 돌아가지 않아 서버관리자가 재부팅을 시킴.
서비스에 등록된 WAS가 동작해서 서비스함.
> netstat -nao | findstr LIST | findstr :80
TCP 0.0.0.0:80 0.0.0.0:0 LISTENING 1920
TCP 0.0.0.0:8080 0.0.0.0:0 LISTENING 1900
> tasklist | findstr httpd
httpd.exe 1708 Console //80
httpd.exe 1732 Console //8080
> tasklist | findstr java
java.exe 1900 Console //8080
java.exe 1920 Console //80
> tasklist /m | findstr httpd
httpd.exe 1708 ntdll.dll, kernel32.dll, WS2_32.dll,
httpd.exe 1732 ntdll.dll, kernel32.dll, WS2_32.dll,
libhttpd.dll, USER32.dll, GDI32.dll,
libhttpd.dll, USER32.dll, GDI32.dll,
libhttpd.dll, USER32.dll, GDI32.dll,
TCP 0.0.0.0:80 0.0.0.0:0 LISTENING 1920
TCP 0.0.0.0:8080 0.0.0.0:0 LISTENING 1900
> tasklist | findstr httpd
httpd.exe 1708 Console //80
httpd.exe 1732 Console //8080
> tasklist | findstr java
java.exe 1900 Console //8080
java.exe 1920 Console //80
> tasklist /m | findstr httpd
httpd.exe 1708 ntdll.dll, kernel32.dll, WS2_32.dll,
httpd.exe 1732 ntdll.dll, kernel32.dll, WS2_32.dll,
libhttpd.dll, USER32.dll, GDI32.dll,
libhttpd.dll, USER32.dll, GDI32.dll,
libhttpd.dll, USER32.dll, GDI32.dll,
테스트용으로 등록해뒀는 서비스가 8080포트로 동작하고 있었음.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는 사용않함으로 둘 것.
PrcView에서 1708 httpd.exe의 커맨드라인 확인
"c:\resin-pro-3.0.25\httpd.exe" -service -java_home C:\Java\jdk1.5.0_12
-resin_home c:\resin-pro-3.0.25 -J-server -Xms512m -Xmx512m
-XX:PermSize=256m -XX:MaxPermSize=256m
서비스에 등록된 실행경로
"c:\resin-pro-3.0.25\httpd.exe" -service -java_home C:\Java\jdk1.5.0_12
-resin_home c:\resin-pro-3.0.25 -J-server -Xms512m -Xmx512m
-XX:PermSize=256m -XX:MaxPermSize=256m
1708은 80포트를 사용하는 서비스임.
테스트 WAS의 실행경로
"C:\resin-pro-3.0.25\httpd.exe" -service -java_home C:\Java\jdk1.5.0_12
-resin_home C:\resin-pro-3.0.25 -J-server -Xms512m -Xmx512m
-XX:PermSize=256m -XX:MaxPermSize=256m -conf conf/test.conf -server
test
PrcView에서 1920 java.exe의 커맨드라인
"C:\Java\jdk1.5.0_12\bin\java.exe" "-server" "-Xms512m" "-Xmx512m"
"-XX:PermSize=256m" "-XX:MaxPermSize=256m" -classpath
"c:\resin-pro-3.0.25\classes;c:\resin-pro-3.0.25\lib\resin.jar;C:\Java\jdk1.5.0_12\lib\tools.jar;C:\Java\jdk1.5.0_12\jre\lib\rt.jar;c:\resin-pro-3.0.25\lib\activation.jar;..."
-Dresin.home="c:\resin-pro-3.0.25" -Dserver.root="c:\resin-pro-3.0.25"
-Djava.util.logging.manager=com.caucho.log.LogManagerImpl
-Djavax.management.builder.initial=com.caucho.jmx.MBeanServerBuilderImpl
com.caucho.server.resin.Resin -socketwait 1029
> netstat -nao | findstr 1029
TCP 127.0.0.1:1029 0.0.0.0:0 LISTENING 1708
TCP 127.0.0.1:1029 127.0.0.1:1036 ESTABLISHED 1708
TCP 127.0.0.1:1036 127.0.0.1:1029 ESTABLISHED 1920
TCP 127.0.0.1:1029 0.0.0.0:0 LISTENING 1708
TCP 127.0.0.1:1029 127.0.0.1:1036 ESTABLISHED 1708
TCP 127.0.0.1:1036 127.0.0.1:1029 ESTABLISHED 1920
- PrcView로 프로세스 트리를 확인해 봄.
- 서비스가 아닌 구동 스크립트로 시작한 경우의 프로세스
직접 실행시킨 경우 사용자가 Administrator로 되어 있고 세션 이름이 RDP-...(원격데스크톱으로 들어갔음, 직접 들어가면 Console인가?)이다.
서비스로 구동시켰을때는 SYSTEM이고 세션 이름이 Services이다.
- ptree, tlist 등의 도구를 활용하면 비슷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Recent comment